사진용 카메라
캐논 6D
- 30만원 대
- 2020만 화소 풀프레임
- DSLR의 뷰파인더 감성
- SD카드 사용, 오래가는 배터리
- EF마운트 렌즈군 매우 다양하고 저렴함
- 추천 렌즈: 50mm F1.8
- 7만 원대
소니 알파7 II (A7M2)
- 60만 원대
- 2300만 화소 풀프레임, 손떨림 방지
- 뛰어난 자동 초점(비상차 AF)
- 서드파티 렌즈군과 중국산 저가 렌즈들도 다양
- 줄곧 발전한 소니 렌즈 생태계
단점:
- 5연사로 다소 느린 연속 촬영
- 배터리 소모 빠름
- LCD 화질이 떨어져서, 촬영 후 미리보기에는 아쉬움이 있으나 실제 결과물은 괜찮음
니콘 Z50 II
- 100만원 대
- 2024년 말에 출시된 최신 크롭 미러리스
- 번들렌즈 포함 120~140만 원
- 2080만 화소, 방진방적, 11연사, 뛰어난 그립감
- 니콘 Z마운트 렌즈와 저렴한 TT아티산 같음 서드파티 렌즈 사용 가능
- 니콘 이미지 클라우드로 필름 룩, 파스텔 톤 등 다양한 레시피 즉시 적용 가능
- 플래시 내장
단점
- 배터리 용량 작음
- 손떨림 방지 미지원
소니 알파7 III (A7M3)
- 중고로 100만 원대에 구입 가능
- 2,300만 화소 풀프레임, 10연사, 향상된 센서(야간 촬영에 강함)
- 대용량 배터리
- 웨딩‧스냅 현역에서도 많이 쓰는 검증된 신뢰도
단점
- LCD 품질이 낮아 현장에서 결과물 미흡해 보이나, 실제 원본은 좋음
- 틸트 형식 액정(셀카 불가)
니콘 Zf
- 200만원 대
- 2400만 화소 풀프레임, 14연사, 듀얼 SD/마이크로SD 지원
- 예쁜 디자인과 실용성
- 니콘 이미지 클라우드 지원으로 원하는 색감 즉시 적용
- 필름카메라 같은 디자인‧감성, 결과물도 필름처럼 가능
단점
- 그립감이 아쉬움과 디자인
- 궁합 잘 맞는 렌즈가 많지 않음.
소니 알파 7R V
- 300만원
- 상업 촬영 및 전문 사진의 시작
- 6,100만 화소 풀프레임, 10연사, 최고급 AF(자동 초점)
- 듀얼 슬롯(CF Express A, SD카드 모두 가능)
- 튼튼한 렌즈군, 오래된 미러리스 시스템 덕에 저렴한 중고 렌즈도 많음
단점
- 사진(로우) 파일 크기가 매우 커서 저장 공간과 컴퓨터 요구 성능이 높음
- 1장에 100MB, 1초에 1GB 촬영되는 초고화질 운영
캐논 R5 Mark II
- 500만원대
- 적층형(스택드) 센서의 강점
- 플리커 거의 없음(형광등 줄무늬 현상, 실내 촬영에 강함)
- 롤링셔터(휘어지는 현상) 거의 없음
- 기계식-전자식 셔터 자유롭게 선택, 1초에 최대 30연사 가능
- 최고급 자동 초점 시스템
- 뷰파인더를 보면 보는 위치에 AF 포인터 생기고, 반셔터로 포커싱이 잡힘
- 스포츠 촬영 땐 공을 가진 선수만 AF 가능
- CF Express B와 SD카드 듀얼 슬롯
- 방진방적 및 무게 중심 조화로 들었을 때 가벼움
단점
- 안경 쓸 경우 눈인식 AF 정확도가 살짝 떨어짐
- 전용 배터리(LP6P)가 비싸며, 이 배터리를 써야 초고속 연사 지원
밸런스형 카메라
소니 알파 6400
- 70만원대
- 2,400만 화소 APS-C 크롭 센서
- 초당 11연사, 리얼타임 AF
- 4K 30프레임, S-Log2 지원
- 30분 촬영 제한 없음 → 1시간, 2시간 촬영 가능
단점
- 배터리가 적음
- 손떨림 방지 없음
캐논 V1
- 100만원 대
- 2,230만 화소 1.4-inch 센서
- 16~50mm 화각, 주머니에 들어가는 소형
- 4K 60프레임, 5.7K 오버샘플링 4K 30프레임
- 냉각 팬 내장, 시네카메라급 영상 성능
- 예쁜 피부 효과, 듀얼 픽셀 AF
단점
- 플래시가 없음
- 매물이 없음
소니 A7C
- 100만원 대
- 2,400만 화소 풀프레임, 손떨림 방지 내장, 10연사
- 촬영 제한 시간 없음
- 렌즈 선택권이 매우 넓음
단점
- SD 카드가 하나만 들어갈 수 있다.
- 액정이 좋은 편이 아니라 실제 결과물가 차이가 있음
- 뷰파인더가 작아서 안경 썼다면 불편
니콘 Zf2
- 200만원 대
- 2,400만 화소 풀프레임, 14연사, 이면 조사형 야간 저노이즈 센서
- 방진·방적, SD카드 듀얼 슬롯, 손떨림 방지, 니콘 클라우드 지원
- 취향 색감(니콘 레시피) 사진·영상 둘다 적용 가능
- 영상에서도 로우(로그) 촬영 지원
- N-Log, 레드(RED) 시네마 카메라 검수 러 지원
단점
- 4K 60프레임이 크롭 프레임이라 전체 센서를 쓰지 않음
소니 A7C2
- 3,300만 화소(33MP) 풀프레임 BSI-CMOS 센서탑재
- BIONZ XR 프로세서 + AI 프로세서
- 10연사 지원, AF/AE 유지 가능
- 5축 손떨림 보정(IBIS) 체감상 약 7EV 성능
- 4K/30p 10비트, 4K/60p(Super35 모드) 등 고화질 영상 촬영 기능 제공
- 전/후면 컨트롤 다이얼 추가
- EVF 해상도 향상(2.36M 도트, 0.7×)
단점
- SD 카드 슬롯 하나만 제공
- 롤링 셔터
- EVF 크기 및 해상도 제한
니콘 Z8
- 300만원 대
- 전문가, 현업용
- 4,500만 화소 적층형 풀프레임 센서
- 120연사, 플리커 현상 적고, 기계식 셔터 고장 없음
- ISO 최저 64, 최대 셔터 속도 1/32,000
- 8.3K 60프레임 로우, 4K 120프레임, 레드 검수 러 지원
단점
- 셀카 불가능
- 무게가 무거움
파나소닉 S1Ⅱ
- 400만원 대
- 2025년 나온 최신 균형형 모델
- 2,400만 화소 풀프레임, 부분 적층형 센서, 최대 연사 70
- 고화소 모드시 9,600만 화소까지
- CF Express B + SD카드 듀얼 지원
- 루믹스 랩(원하는 색감 휴대폰에서 바로 적용)
- 스튜디오 촬영용 테더 지원
- 6K 프로레스 로우 30프레임, 4K 120프레임, 오픈게이트 지원
- 아리(ARRI) 로그 추가 예정 → 시네마틱 영상 가능
- 최강 손떨림 방지(체감상 업계 1등 수준)
캐논 R1 Mark II
- 500만원 대
- 4,500만 화소 풀프레임 적층 센서, 30연사
- 시선 제어, 인물 등록 AF 및 우선순위 자동 추적
- 사진 내 AI 업스케일링 (최대 1억 7,900만 화소)
- 8K 60프레임, 4K 120프레임, 16스탑 다이나믹레인지
- 캐논 Log 2, 무게 746g (매우 가벼움)
단점
- 4K 60프레임에서 오버샘플링이 아니라 화질이 좀 떨어진다는 얘기가 많음
- 전용 배터리가 비싸고, 액세사리를 쓰면 배터리 소모 높음
영상용 카메라
빈티지 캠코더
- 배터리가 출시되고 있는 캠코더
- SD카드나 마이크로 SD 지원
인스타360 에이스프로
- 50만원 대
- 초강력 손떨림 방지
- 방수·내구성
- 휴대의 부담 적음
단점
- 셀카를 찍으려면 액정을 돌려야 함
- 크기가 경쟁 제품보다 크다.
DJI 포켓3
- 60만원 대
- 짐벌 일체형 미니캠
- 얼굴 보정, 주머니에도 쏙 들어가는 크기
- 1인치 저조도 센서
- 배터리 교체 간편
단점
- 360도가 아니라 각도 한계
- 망원 촬영
캐논 EOS R50V
- 100만원 대
- 최근 크리에이터들이 메인으로 많이 쓰는 카메라
- 준수한 4K 영상 화질, 빠른 AF, 발열 걱정 없는 오랜 촬영
단점
- 손떨림 방지가 바디 내장 아님(렌즈 보조 필수)
- 배터리 용량
파나소닉 S9
- 160만원 대
- 소형 풀프레임
- 루믹스 랩 어플로 직접 만든 컬러 프리셋 적용도 가능해서 즉석에서 필름 룩, 시네마 룩 영상 촬영이 가능
- 손떨림 방지
- 촬영 제한 없음
단점
- AF 영역 설정이 한정적
- 기계식 셔터, 핫슈 부재
- 영상만 찍는다면 큰 문제 없음
파나소닉 GH7
- 200만~220만 원대
- 신품 260만 원대, 중고 220만 원대
- 전통의 영상 특화 GH 시리즈 최신작. 에서 독보적입니다.
- 프로레스로 5.7K 촬영도 가능, 4K 120프레임도 크롭 없이 촬영
- 아리 로그 지원, 쿨러 내장
- 렌즈 가성비가 뛰어나다.
단점
- 아웃포커싱, 고감도 노이즈 성능은 상대적으로 약하다.
니콘 Z8
- 300만원 대
- 8K RAW 60프레임, 4K 120프레임 모두 지원
- 최대 8K 30프레임에서 90분, 4K 60프레임은 2시간 촬영 가능
- 레드(RED) 시네마 LOG 지원
단점
- 전자식 손떨림 방지는 주변부 왜곡 이슈와, 셀카용 액정 부족
- 셀카나 핸드 헬드 촬영 위주면 약간 불편
파나소닉 S12
- 400만원 대
- 부분 적층형 풀프레임 센서
- 6K RAW 지원
- 엘마운트 렌즈 선택지가 다양해지고 있고 바디도 가벼운 편\
프로용 소니 FX3
- 500만원 대
- 여전히 현역에서 가장 많이 쓰는 소니 FX3.
- 4K 120프레임, 초고감도 AF, 뛰어난 소음 억제력,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카메라
- 웹캠, 거치캠, 핸드헬드 어디서나 좋음
- 야간 촬영도 강력
단점
- 후속작이 나올 시점